환경자원연구부에서는 폐자원의 안전한 순환이용을 위한 재활용 관련 유해성 기준을 마련하고, 유해폐기물 관리체계 등 폐기물 법·제도 개선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가연성폐기물의 연료화(RDF 등) 및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등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의 에너지화를 통한 대체에너지 이용기술 개발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조성을 위해 국토 환경변화 및 개발영향 예측·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지자체 환경보전계획 수립 지원, 환경영향평가 내실화 및 통합환경관리제도의 안정적 시행을 위한 지원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와 현재를 연계한 실증적 환경오염 모니터링 및 평가를 위해 초저온 저장 시료를 활용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연구과는 폐자원의 안전한 순환이용을 위해 재활용 환경성평가 승인절차에 필요한 최적화 방안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사업장 폐기물의 배출공정과 유해특성 파악을 통해 유해성 정보를 확보 제공하여 재활용 확대 및 폐기물의 안전처리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폐플라스틱 재활용 방법별 적정관리 및 평가방법 제시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의 친환경적 관리체계 확립을 목표로 폐기물 추적관리시스템 도입을 위한 안전처리 감시체계 및 재활용 유형별 표준화된 조사 및 평가기법 마련을 위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폐자원에너지연구과는 가연성폐기물의 연료화(SRF, Bio-SRF 등) 및 유기성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등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의 에너지화를 통해 녹색성장시대에 맞는 대체에너지 이용기술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의 열적처리 및 용융과 관련된 기준 설정, 폐기물 소각시설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및 매립시설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특성 및 처리 방법 등에 관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연환경연구과는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조성을 위해 국토 환경변화 및 개발영향 예측·평가 연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지자체 환경보전계획 수립 지원을 위해 환경정보지도 구축기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환경영향평가 내실화 및 통합환경관리제도의 안정적 시행을 위한 지원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와 현재를 연계한 실증적 환경오염 모니터링 및 평가를 위해 국가환경시료은행 운영 및 초저온 저장 시료를 활용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