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자원연구부는 4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폐자원의 안전한 순환이용을 위한 재활용 관련 유해성 기준을 마련하고, 유해폐기물 관리체계 등 폐기물 법·제도 개선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가연성/유기성폐기물의 폐자원에너지화를 통한 대체에너지 전환 및 이용기술 개발과 폐기물처리시설 검사제도 관련 법적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폐기물의 친환경 순환이용 활성화를 통한 온실가스의 감축 및 지속 가능한 자원의 관리 체계 구축 등 미래폐자원의 순환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토양 및 지하수 환경 최적관리를 위하여 오염토양의 평가 및 관리체계를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지하수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 운영 및 최적 활용을 통해 효율적 관리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연구과는 순환자원 이용 확대를 위해 폐기물의 발생, 분류 및 처리 등 폐기물의 전과정(full life cycle)에 대하여 적정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재활용환경성평가제도를 운영하여 국내 폐기물 재활용 신기술의 실용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은함유폐기물, 의료폐기물 등의 유해폐기물은 유해특성(hazardous characteristics)을 고려하여 폐기물 처리단계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리방안 마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 전지구적 환경 현안으로 고려되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과학적인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환경자원연구분야 성과에 대한 국제적 동등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OECD 국제 협약 대응, 프랑스·일본과의 양해각서 체결을 통한 공동 연구 추진, 국제 표준(ISO) 제정 등의 국제협력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환경에너지연구과는 폐기물로부터 얻어지는 폐자원에너지인 고체, 액체, 기체연료와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각열, 바이오가스 등과 같은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고 열원(온수, 증기)이나 전기 등을 회수하는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한 폐기물처리시설 운영·관리 기준 등을 제시함으로써,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에너지 사용을 촉진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미래폐자원연구과는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태양광 폐패널, 풍력 발전 폐블레이드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활동에서 기인한 폐기물과 AI, 로봇 등 새로운 유형의 디지털 제품과 같이 향후 발생이 예측되는 폐기물의 친환경 순환이용 활성화를 통한 온실가스의 감축 및 지속 가능한 자원의 관리 체계 구축 등 미래폐자원의 순환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플라스틱의 전주기 관리체계 구축, 대체 플라스틱 제품(원료) 등 미래폐자원의 처리시스템 개발 및 환경 중 미세플라스틱의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대내적으로는 국내의 플라스틱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대외적으로는 플라스틱 국제협약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토양지하수연구과는 토양·지하수 기준 선진화 및 위해성평가 활성화 기반 마련 연구, 토양·지하수 오염취약지역 관리방안 연구, 지하수 유역관리 기반 마련 연구,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SGIS) 운영·개선 및 측정망 결과 등 검증·평가·분석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상하수도연구과는 선진화된 상하수도 수질관리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기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화학물질 사용증가에 따른 수질오염으로부터 먹는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물환경에서의 검출정도, 위해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선진화된 먹는물 수질기준/감시항목 설정을 위한 연구와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정수처리기준, 수처리 기술, 수처리제 기준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먹는물에서의 병원성 미생물 감시 및 항생제 내성균 조사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하수관리 선진화를 위해 유역하수도를 고려한 방류수 수질기준, 수질유해물질 관리방안 마련 및 하수 최적처리기술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환경측정분석센터에서는 환경분야 시험·검사 결과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하여 환경시험·검사기관을 대상으로 표준시료의 분석능력에 대한 숙련도 시험과 ISO/IEC 17025를 기반한 정도관리 시스템을 확립·시행하고 이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는 정도관리 제도를 운영 중이며, 환경분야 국가표준(KS) ·국제표준(ISO)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의 제·개정 및 환경측정기기의 구조·규격·성능에 대한 형식승인 및 정도검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잔류성유기오염물질·악취 등의 환경시험·검사 전문기관 지정(인정)업무와 환경연구전략장비 운영 및 환경동위원소비를 이용한 환경과학수사연구 기반 조성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토양지하수연구과는 토양·지하수오염으로 인한 사람의 건강 및 생태계 피해방지를 위해 각종 유해물질에 대한 토양·지하수 오염특성을 파악하고 오염물질의 토양·지하수중 거동을 평가하여 위해성에 근거한 토양·지하수 오염기준 설정 및 시험방법 마련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염취약지역에 대한 토양·지하수오염 실태조사와 오염된 토양·지하수의 정화기술 개발 및 평가 등에 관한 연구,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SGIS) 운영 및 고도화를 위한 개발 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